기사
일-가족 양립정책이 여성의 경제활동과 근무 형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The Effect of the Family Policy on Mathers' Economic Participation by Social Classes)
- 개인저자
- 윤승희
- 수록페이지
- 107-130 p.
- 발행일자
- 2018.05.01
- 출판사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초록
본 연구는 복지국가의 일-가족 양립정책이 여성들의 경제활동과 근무 형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계층적 관점에서 살펴본 연구이다. 이러한 관계를 경험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데이터는 EVS와 WVS(2009)를 통합한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총 17개 국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일-가족 양립정책은 여성의 경제활동과 근무 형태에 계층에 따라 상이한 영향력을 보여주고 있었다. 보육서비스에 대한 공공지출 비율은 모든 계층의 여성들의 취업 확률을 높이고 전일제 근무 확률을 높인 반면 휴가 정책의 경우 여성의 계층에 따라 상이한 영향력을 보이고 있었다. 이를 통해 휴가 정책의 경우 정책 설계의 정교화가 필요하며, 특히 하층 여성들을 둘러싼 노동시장 구조 개선이 필요하다는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on the influence of the Family policies for the mathers' economic participation among social classes. To analyze this relationship empirically, a multi-level analysis model were used in this study. Personal data used in this study is WVS and EVS data of 17 countrie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ould be differences of mathers' economic participation among social classes, and the influence of family policies would be different among social classes. Family policy affect on mathers' economic participation but Family policy has a meaningful influence more on the higher class rather than on the lower class. These results mean that police response would be needed for social clas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