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저소득층 가족 관련 변인이 영유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s of Low-Income Bracket Family Predictors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
- 개인저자
- 조용남
- 수록페이지
- 85-104 p.
- 발행일자
- 2018.07.01
- 출판사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초록
본 연구는 저소득층 가정의 가족형태와 양육자 혼인상태가 영유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지역에서 드림스타트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영유아의 양육자 27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K-ASQ를 활용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 검증과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가족형태와 관련하여 양부모가정, 한부모가정의 영유아가 3세대 가정, 기타 가정의 영유아보다 의사소통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양육자의 혼인상태와 관련하여 현재 양육자가 별거 또는 재혼상황인 경우 영유아의 소근육 발달과 문제해결 능력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저소득층 가정의 가족형태와 양육자의 혼인상태가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양육자가 별거나 재혼상태인 경우 초혼인 경우에 비해 문제해결능력, 사회성, 소근육 운동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level of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based on the type of the low-income bracket family and the marital status of the parent. The study participants examined through the survey the development of 279 infants and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Dream Start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infants and children raised by parents or single parent showed higher scores in the communication abilities than those raised by grandparents or somebody else. Second, infants and children experienced the difficulty in developing their fine motor skills and solving the problems when their parents were separated or remarried. Third, through the research on the type of low-income bracket family and the marital status of the parent, also we found that separation or remarriage has a negative impact on problem-solving skills, social skills, and development of fine motor skills in the growth of infants and child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