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학업준비도 관계에서 사회적 기술의 매개효과(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ompetence between Child’s Self-esteem and Academic Readiness)
- 개인저자
- 윤수정
- 수록페이지
- 137-152 p.
- 발행일자
- 2018.07.01
- 출판사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초록
본 연구는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기술, 그리고 학업준비도 간의 관계에서 관련성과 영향력을 살펴보면서 사회적 기술의 매개효과가 어떠한지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 자료 중 초등학교 입학직전 연령인 2014년(7차년도) 조사에서 어린이집 또는 유치원에 다니는 만 6세 남아 786명과 여아 755명, 총 1,541명이었다. 연구방법은 변인 간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AMOS 20.0 Program으로 매개모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는 Sobel 검증을 통해 유의성을 점검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자아존중감, 사회적 기술, 그리고 학업준비도 간의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유아의 자아존중감은 사회적 기술의 매개변인을 통해서 학업준비도에 직․간접적인 영향력을 보여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ompetence between child’s self-esteem and academic readiness. A total of 1,541 children (755 girls, 786 boy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4-year-old children either attended kindergarten or day care center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7th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in the Korean Institute of Child and Education in 2014.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and AMO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hild’s self-esteem, social competence, and academic readines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Second, the findings showed a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mpetence between child’s self-esteem and academic readiness. This results suggests the important of academic readiness based on early childhood and the correlation and influence of the study variab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