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중고령자의 건강이 노동시장 참여에 미치는 영향(Impact of Health on Labor Force Participation Among Older Koreans)
- 개인저자
- 이은경
- 수록페이지
- 183-214 p.
- 발행일자
- 2014.08.28
- 출판사
- 한국사회보장학회
초록
본 연구는 고령자패널 3차 및 4차 자료를 이용하여 중고령자(50~64세)의 건강수준이 노동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였다. 주요 설명변수는 주관적 건강상태, ADL, IADL, 만성질환 수이고, 종속변수는 중고령자의 경제활동 참여여부이다. 주요 추정방식은 프로빗과 IV 프로빗 모형이나, 도구변수의 적절성을 테스트 하기 위해 OLS와 2SLS 방식을 병행하였다. 프로빗 모형의 추정 결과,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음 혹은 매우좋음으로 응답한 중고령자는 노동시장에 참여 확률이 약 7% 높았다. 악력지수와 정상체중 여부를 도구변수로 사용하여 주관적 건강상태의 내생성을 교정한 IV 프로빗 모형에서는,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노동시장에 참여할 확률이 51%까지 증가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종합해보면, 소득이나 자산효과보다도 중고령자의 건강상태가 노동시장 참여여부를 결정하는데 큰 영향을 미치며, 다양한 건강지표들을 통해 중고령자의 건강수준 악화가 노동공급을 위축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중고령자의 성별, 직업의 종류, 자산 규모, 재취업 효과 등을 고려한 강건성 테스트를 시행한 결과, 추정결과에 일관성이 있음을 입증하였다.
Using the 3rd and 4th waves of the KLoSA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this paper empirically examines the impact of health on labor force participation among adults aged 50 to 64. The main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 self-assessed health, ADL, IADL, and number of chronic diseases, while the dependent variable is an indicator that denotes whether a person is currently working or not. We find that improved health of older workers (50~64 years old) does increase their labor force participation by 7% in probit models, and 51% in IV probit models. Endogeneity of the self-assessed health measure is corrected by using two instrument variables (grip strength and BMI). Several robustness tests are conducted, which examine potential confounding effects of gender, occupation, wealth, and re-employment. The main results are consistent after considering these various factors. Also, our findings suggest that health conditions, rather than wealth or income, have more significant impacts on the labor force participation decision among older Kore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