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노인일자리사업 수행기관의 서비스 품질이 참여자의 일자리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s of Service Quality of the Senior Job Matching Program on Participants' Job and Life Satisfaction)

개인저자
천재영
수록페이지
245-274 p.
발행일자
2014.08.28
출판사
한국사회보장학회
초록
본 연구는 사회복지서비스로서 노인일자리사업이 가지는 속성에 초점을 두고, 일자리서비스를 제공하는 수행기관의 서비스 품질을 3차원 모형을 적용하여 측정한 후, 서비스 품질이 참여노인의 일자리 만족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012년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전국의 노인 2,005명이며, 설문지를 활용한 개별면접방식으로 진행된 [2012년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참여자의 건강상태와 사업유형, 그리고 서비스 품질을 나타내는 상호작용품질, 환경품질, 결과품질 등이 일자리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만족도와 관련해서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학력, 거주지역, 경제상태, 건강상태, 지지체계 등이 영향을 미쳤으며, 서비스 품질의 경우 일자리 만족도와 마찬가지로 상호작용품질, 환경품질, 결과품질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서비스 품질 차원이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서비스 품질의 3개 하위차원 중 결과품질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노인일자리사업 수행과 관련한 몇 가지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influences of service quality of the Senior Job Matching Program on the participant's job and life satisfaction. For this, this study used ‘2012 Senior Job Replacement Project Participants’ data collected by the Korea Labor Force Development Institute for the Aged. Total 2005 cas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quality of services have been positive effect on the both job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participants, after controlling for socioeconomic and employment characteristics. In addition,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reveal that among three dimension of service quality ‘outcome quality’ is the biggest effect on the participant’s job and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several policy implications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