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제도별 복지인식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Welfare Awareness by System -Focused on basic pension, youth dividend, free school meals, free childcare policies)
- 개인저자
- 이현옥
- 수록페이지
- 79-105 p.
- 발행일자
- 2018.02.28
- 출판사
- 한국사회보장학회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한국사회에서 가장 논쟁적인 대표적 사회복지정책인 기초연금, 청년배당, 무상급식, 보육료지원제도에 대한 사회구성원들의 복지인식과 영향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하여 사회복지제도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자료를 활용하였고,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여성이 남성에 비해 복지확대에 부정적인 인식을 보였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보수적인 경향을 보였다. 고학력에 비해 저학력인 경우, 그리고 제도의 수급 경험이 있는 경우 복지확대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특정 제도를 중심으로 복지인식을 설명하는데 있어 복지지위론의 설명력이 높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존에 국가의 책임인식 측면에서 통합적으로 파악되었던 복지인식이 특정 제도별로 세분화될 때 복지인식의 정도와 영향요인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복지인식의 격차를 드러내는 원인과 현상을 제도별로 심층적으로 규명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welfare perceptions and influential factors on basic pension, youth dividend, free school meal, and free childcare policy which are the most controversial representative social welfare policies in Korean society. For the analysis, we used data on public awareness about social welfare syste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Women showed a negative perception of welfare expansion than men and showed a tendency to be more conservative as the age increased. They wanted to expand welfare policies when they had lower education levels than those with higher education, and when they had experience in receiving the system. In this study, we can confirm that welfare status theory has a high explanatory power in explaining welfare perception centered on specific system.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welfare perception and influential factors when welfare perception, which was previously integrated, was subdivided into specific system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suggests to deeply investigate the cause and phenomenon that reveal the gap of welfare perception by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