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고령장애인의 직업 유지 영향 요인 연구(A study on the predictors influencing the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y’s job-maintaining)

개인저자
이성규
수록페이지
147-169 p.
발행일자
2014.11.28
출판사
한국사회보장학회
초록
본 연구는 고령장애인의 직업 유지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고용안정을 위한 정책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제6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임금 근로자중 50세 이상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들을 다시 남성과 여성, 경증과 중증으로 구분하였다. 분석은 인적 요인, 장애 및 건강 요인, 경제적 요인 그리고 사업체 요인으로 구분하여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고령장애인은 비고령장애인에 비해 학력, 자격증 여부, 근무시간제, 일자리 안전 부문이 유의미하였으며, 남성과 여성을 비교할 경우, 남성 고령장애인은 임금, 고용형태가 중요한 반면 여성 고령장애인은 경제적 지위, 노후준비와 같은 경제적 요인이 중요하게 나타났다. 남성 고령장애인이 인적 요인이나 장애 및 건강 요인, 사업체 요인에서 유의미한 변수가 있었지만, 여성 고령장애인은 경제적 요인에서만인 유의미하였다. 장애 정도에 따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경증 고령장애인의 경우 성별, 학력, 임금, 고용형태, 일자리차별여부, 근무시간제가 주요 변수인 반면, 중증 고령장애인은 노후준비와 임금, 근무시간과 노동조합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를 정리하면, 여성, 중증 고령장애인은 남성, 경증에 비해 경제적 필요성에 의하여 낮은 수준의 일자리에서 직업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여성과 중증 고령장애인에 대한 경제적인 지원 체계 구축, 일자리에서 건강을 유지하고 작업환경을 개선하는 방안, 장애인 노동권 보장에 대한 제도화, 학력과 병행하여 직업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성화된 훈련 프로그램의 도입, 마지막으로 고령장애인의 개별화된 특성에 맞춘 사례 관리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edictors influencing the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y’s job-maintaining and to find out the improvement measures by using the data set of the sixth-year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The targets of analysis are wage earners who are over 50 years of age and they are classified by the gender and the degree of disability. The predicting variables are HRD factor, disability and health factor, financial factor, and employer factor. The results are like the following. First, in comparison with non-elderly people with disability, academic background, certificate of skills, working time, safety factors are proved to be the significant predictors which influence the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y’s job-maintaining. Second, wage and the type of employment are proved to be significant factors for the male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y’s job-maintaining. Third, according to the degree of disability, gender, academic background, wage, type of employment, discrimination in working, and working time are the significant predictors for the elderly people with light disability, but preparation for the retirement, wage, working time and labor union are the significant for the elderly people with severe disability.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e measures to establish financial support system for the elderly people with severe disability, to keep health and improve working environment, to guarantee the rights to work, to introduce specialized vocational training program and the proper case management of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