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유방암 수검률 향상을 위한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실천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A Qualitative Study of Practical Experiences with Patient Navigation Program to Increase the Rate of Breast Cancer Screening -Focused on Experiences of Navigators, a Supervisor, and a Staff in Health Center)

개인저자
임정원
수록페이지
195-236 p.
발행일자
2014.11.28
출판사
한국사회보장학회
초록
본 연구는 네비게이터, 슈퍼바이저, 기관 실무자를 대상으로 보건소 중심의 유방암 검진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활동 경험을 맥락, 과정, 결과의 패러다임에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총 5명의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면접, 초점 집단, 참여 관찰, 자료 수집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네비게이터, 슈퍼바이저, 기관 실무자 각 대상자별로 6개, 2개, 4개의 큰 주제를 도출하였다. 주제를 통해 나타난 실천 의미는 네비게이터의 경우, “막연한 관심에 세심한 관심이 필요한 그들을 만나 네비게이터 활동의 장인 보건소에서 고군부투하며 네비게이터 역할의 가치를 알게 되었다”는 점이다. 슈퍼바이저의 경우, “역량 강화를 통한 네비게이터의 역할 정립의 필요성”을 느꼈고, 보건소 실무자는 “검진 홍보사업의 벅참을 느끼고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이란 모험을 시작하면서 만감이 교차함을 느꼈으나 이 프로그램이 정착되기를 바라는 마음”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처음으로 유방암 검진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에서의 활동 경험을 탐색한 연구로 향후 우리나라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정착 시 실질적인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navigation experiences of navigators, a supervisor, and an agency staff who have been involved in navigation program to increase breast cancer screening in community health care center based on the paradigm of context, progress, and result. A total of 5 individuals participated in different types of activities including in-depth interviews, focus group,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data collection. Findings demonstrated that 6, 2, and 4 themes have been derived from navigator, supervisor, and agency staff, respectively. Practical findings derived from themes indicate that navigators came to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navigator roles, acting in community health center with individuals who are required to get screened after participating as a navigator without conscious thought. A supervisor felt that the role of navigator needs to be established through the enhancement of capacities. A staff agency wished to establish navigation program in the future, although he mentioned ambivalent thoughts about the navigation program, beginning a new journey. This study is the first investigation to explore navigation experiences to increase breast cancer screening. The current study will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Korean navigation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