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고령자의 복지인식 및 복지수혜자 지위가 민간복지활동에 미치는 영향(Effects Of The Welfare Perception And Welfare Status Of The Aged On Private Welfare Activities)

개인저자
박경하
수록페이지
129-155 p.
발행일자
2015.05.28
출판사
한국사회보장학회
초록
연구는 2010~2013년 4년간 한국복지패널조사 자료를 결합하여 패널로짓분석과 패널토빗분석으로 고령자의 복지인식과 복지지위가 민간복지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공공복지와 민간복지는 상충관계가 있다는 전제와 달리,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자 지위에 있는 고령자일수록 민간복지활동에 더욱 적극적이었다. 둘째, 고령자들은 어떠한 유형의 민간복지활동을 하느냐에 따라서 그 영향요인이 달랐다. 민간복지활동을 기부활동 참여와 자원봉사활동 참여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공적연금 제도의 수급자 지위는 기부활동에만,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자는 자원봉사활동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복지인식이 자원봉사활동 참여횟수에는 부적인 관계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분석결과는 공공복지 확대와 고령자의 민간복지활동은 보완적으로 발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welfare perception and welfare status of the aged on the private welfare activities using the data of the Korea Welfare Panel of 2010-2014. Panel logit analysis and panel tobit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conduct the study. Firstly, a hypothesis about the crowding out effects of the public welfare on the private welfare is unexpectedly not supported in this study because the receipt of public assistance made the aged positively participate in the private welfare activities. Secondly, the effects on the elderly's private welfare activities differ on volunteer work and donation participation of the aged, showing that the status of public pension only has positive effect on the donation participation and public assistance only on the volunteer work. Thirdly, welfare perception has negative impact on the number of volunteering, which implies the expansion of public welfare would decrease the elderly's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volunteer work. The results implies the public welfare and the elderly's private welfare activities are in the complementary rel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