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고령자의 주요 사회참여활동 유형과 생활만족도의 관계(Major Types Of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Of Korean Elders)

개인저자
박창제
수록페이지
157-183 p.
발행일자
2015.05.28
출판사
한국사회보장학회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령자들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사회참여활동 유형과 관련 요인을 분석한 다음,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분석 자료는 2013년 통계청 사회조사자료로서 이 조사에 포함되어 있는 55세 이상 고령자 12,476명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경제활동이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자원봉사활동은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사회단체참여는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교육수준과 유배우자, 노후준비, 가계소득, 소비생활만족도는 자원봉사활동에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연령과 거주 지역, 가구원수는 자원봉사활동에 유의하게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교육수준, 유배우자, 노후준비, 소비생활만족도, 주택소유, 가계소득은 사회단체가입에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연령, 가구원수는 사회단체가입에 유의하게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effects on the elder's life satisfaction of major types of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related factors empirically and then to discuss implications for the findings. The Social Statistics Survey conducted by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in 2013 are used in this study. From this dataset, 12,476 elders aged above 55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conomic activity of the elders has negative effect on their life satisfaction. Second, voluntary activities of the elders has positive effect on their life satisfac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ly. Third, the participation on various social group of the elders has positive effect on their life satisfac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ly. Fourth, education level, having spouse, preparedness for aging, household income, and satisfaction level of consumption life have positive effect on voluntary activities of the elder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but age, residental location(=city), number of household members have negative effect on i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Fifth, education level, having spouse, preparedness for aging, household income, and satisfaction level of consumption life have positive effect on the participation on various social group of the elder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but ag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a have negative effect on it statistically significan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