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북한의 보건의료시스템과 그 이용실태에 대한 질적 연구(Qualitative Study on North Korea’s Healthcare System and Healthcare Use: Based on Experiences of Refugees in the 2010s)
- 개인저자
- 민하주
- 수록페이지
- 53-81 p.
- 발행일자
- 2015.11.28
- 출판사
- 한국사회보장학회
초록
본 연구는 북한에서 보건의료기관을 이용한 주민들의 경험을 통해 북한의 보건의료시스템과 그 이용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2010년 이후 북한에서 보건의료기관 이용경험이 있는 북한이탈주민 11명을 대상으로 한 초점집단면접(FGI)을 통해, 북한의 기본 인프라, 보건위생환경, 보건의료체계, 의료서비스와 의약품공급 등 전반적인 보건의료 이용실태를 알아보았다. 북한 의료실태의 근본적인 문제들은 오히려 의료 외적인 요인 즉, 전력, 상․하수도망, 식량공급 등의 기본적 사회 인프라의 미비에 더 많이 기인한다. 사회주의의 우월성으로 내세웠던 “무상치료제”는 유명무실해졌고, 각종 의약품 및 의료서비스가 거래되는 장마당이 주된 의료공급시장이 되어 있다. 주민들은 병이 생기면 병원보다 장마당을 먼저 찾고 있고, 이로 인한 부작용(가짜 약, 약물 오남용, 마약중독 등)을 겪기도 한다. 이러한 상황을 방치하게 된다면 그 결과는 고스란히 남한의 통일비용으로 돌아오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의료 현황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통해 통일시대를 대비한 극복 방안을 강구해본다.
To fill the gap of health status between two Korean peoples and thereby to reduce chaos in the process of unification, efforts to augment health level of North Koreans should be preceded. Just like diagnosis should come first before treatment, understanding recent North Korea’s healthcare reality is required to come first. This study tried to figure it out from experiences of North Korean refugees.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FGI) that was conducted with eleven refugees who had experienced North Korea’s healthcare since 2010, the authors wanted to grasp overall situation of healthcare use including basic infrastructure, health and sanitation environment, healthcare system, healthcare service provision and drug supplies in North Korea. Fundamental health problems in North Korea are due to factors rather beyond healthcare system such as inadequacy of basic social infrastructure including electricity, water and sewage management and food supply. “Free healthcare” magnified as the superiority of socialist nation has become little more than a name, and “Jangmadang” is now a major market for trading drugs and medical services. Residents of North Korea come to Jangmadang before coming to doctors and hospitals, thereby experiencing sometimes side effects (e.g. fake medicine, medicine abuse or misuse, drug addiction etc.). If South Korea leaves current situation of North Korea’s healthcare unsettled, it will boomerang back as a higher reunification c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