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 욕구궤적과 예측요인(Trajectories of the Change and the Predictors on Reemployment Desire for the Career Interrupted Woman)

개인저자
손정민
수록페이지
33-55 p.
발행일자
2017.02.28
출판사
한국사회보장학회
초록
본 연구는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 욕구의 변화궤적을 추정하고,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 욕구 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심리사회적 기능을 중심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한국복지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욕구궤적 및 예측요인은 잠재성장모형(LGM)을 적용하여 확인 하였다.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 욕구궤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선형모형으로 증가궤적을 보였으며, 예측요인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 욕구 변화를 완화 시키는 요인으로는 우울감과 가족관계 만족도로 나타났다. 경력단절 여성 우울감의 경우 우울감 수준이 높고, 가족관계의 만족 수준이 낮을수록 재취업 욕구는 점차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력단절 여성의 생활만족도와 가족관계, 배우자 관계의 만족정도가 재취업 욕구 변화를 증가시키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우리사회에서 경력단절 여성이 경험하는 심리사회적 기능의 변화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재취업 욕구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인과적 관계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경력단절 여성의 심리사회적 기능의 긍정적 변화를 유도하고, 이를 통하여 재취업 성공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사회복지적 측면의 정책적 개입자료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trajectory of change of reemployment desire of career Interrupted women and to examine the predictive factors affecting reemployment trajectory of career. Korean welfare panel data were used, and the trajectory of desire and predictive factors were confirmed by applying the latent growth model (LGM). The trajectory of the desire for reemployment of women with career Interrupted showed an increasing trajectory as a linear model over time, and the analysis result of the predictor was as follows. First, depression and family satisfaction were the factors that alleviated the change of reemployment desire of career Interrupted women. The degree of depression was higher in depressed women than in career, and the desire for reemployment was gradually eased as the satisfaction level of family relationship was lower.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life satisfaction and family spouse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women with career Interrupted increase the desire for re employ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firm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 of psychosocial function experienced by career Interrupted women in our society and the change of reemployment desire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o suggest the basic intervention data of social welfare aspect that can maximize the success effect of reemployment through inducing positive change of psychosocial function of career Interrupted wo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