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가구소득이 아동의 학교 밖 학업시간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 of Family Income on Children's Study Time outside School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ing Styles-)

개인저자
정혜지
수록페이지
81-116 p.
발행일자
2017.02.28
출판사
한국사회보장학회
초록
본 연구는 가구소득이 아동의 학교 밖 학업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것으로서, 특히 부모의 양육방식 차이가 가구소득수준에 따른 아동의 학교 밖 학업시간 차이를 매개하는지 여부를 밝히고자 하였다. 분석자료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4차 자료이며, 분석대상은 중학교 1학년 학생 1,742명이다. 학교 밖 학업시간은 사교육시간과 혼자공부시간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아동의 사교육(학원/과외)시간과 혼자공부시간이 모두 늘어난다. 둘째, 부모양육방식 중 ‘감독’은 가구소득이 혼자공부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변수로서 유의미하다.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부모의 감독 수준도 높아지고, 감독 수준이 높을수록 아동의 혼자공부시간이 길어진다. 반면, 감독은 가구소득이 사교육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변수로 유의미하지 않다. 셋째, 부모양육방식 중 비일관성, 과잉기대, 합리적 설명, 방임, 학대는 사교육시간 및 혼자공부시간에 대해 매개효과를 가지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부모는 자녀의 사교육시간을 증가시키며, 이와 함께 부모가 자녀의 생활에 대해 더 잘 알고, 감독함으로써 자녀의 혼자공부시간을 증가시킨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mily income on children's study time outside school. The focus i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parenting styl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income and children's study time outside school. The data analyzed is 4th Korean Children qqqamp; Youth Panel Survey(KCYPS). Study time outside school is divided into two kinds of time: private education time and individual study time.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such: Firstly, higher family income has effects of lengthening private education time and individual study time. Secondly, parents' supervision level, one of parenting styles, has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income and children's individual study time. As it were, the family income has positive relation with parents' supervision level, and higher parents' supervision level brings longer individual study time outside school. Parents' supervision dose not have significant relation with private education time. Thirdly, parenting inconsistency, parents' over-expectation, reasonal explanation, neglect and abuse don't have mediating effects at all. They don't hav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family income and children's study time outside school. These results show that the higher family income, parents tend to know more about their children's time use. It makes possible to check their children's individual study time outside school. This study reveals some parts of the mechanism how the children's educational attainment ar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family income level in the middle school st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