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장기요양대상 노인에 의한 요양보호사의 폭력피해경험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The impact on the Intention to Leave of care worker experiencing the violent by client working at the long term service agency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ervice agency support-)

개인저자
김민주
수록페이지
17-40 p.
발행일자
2017.05.28
출판사
한국사회보장학회
초록
본 연구는 장기요양대상 노인에 의한 요양보호사의 폭력피해경험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급기관 지원 인식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실증적 탐색은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를 예방하는 기초자료 제공과 노인장기요양제도의 안정적 정착에 기여하는데 의의를 둔다. 이를 위해 D, K도 내의 노인요양시설에서 장기요양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요양보호사와 재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요양보호사 363명을 분석대상으로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장기요양대상 노인에 의한 폭력피해경험이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공급기관 지원 인식이 요양보호사의 장기요양대상 노인에 의한 폭력피해경험과 이직의도 간 관계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를 예방하고 노인장기요양제도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 exploring that how the intension to leave of care worker experiencing the violent by client will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upports of the service agency to the care. For this, the 363 survey data collected from care workers working at the long term care facilities and visiting service agencies for the home bounded elderly people at D, K areas and us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violent experience by client is the positive impact on the intention to leave of the care worker. And so, the service agency supports for the care worker indicate the moderating eff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ntion to leave of the care workers and the violent by client to them.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plan developing the long term care service more stably and the method of prevention of care worker’s intention to lea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