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1인가구 특성과 사회복지정책(Single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Social Policy in Incheon Area)

개인저자
김윤영
수록페이지
1-30 p.
발행일자
2018.08.28
출판사
한국사회보장학회
초록
본 연구는 인천지역 청년․중년․노년층의 1인가구 현황과 사회복지정책적 대응을 살펴보고자 한다. 인천의 1인가구 구성비가 2015년 23.3%에서 2045년에 34.7%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구체적으로 8구 2군의 행정구역상 증가율을 살펴보면, 1인가구의 절대적인 수치는 여전히 구도심이 높지만, 밀도의 증가율은 신도심의 수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구성은 20~59세의 연령에서는 남성, 60세 이상의 연령에서는 여성 1인가구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1차년도부터 11차년도 자료를 바탕으로 소득과 고용, 건강 및 주, 삶의 만족도에서 세대 공통적으로 경인지역 1인가구가 복지 사각지대에 놓여 있음을 살펴보았다. 먼저 청년 1인가구는 구성원들 간의 다양성이 존재하였으며, 대체적으로 주거 불안을 겪고 있었다. 중․장년과 노년층은 사회적 고립감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인천의 1인가구는 주거와 건강지원서비스가 타 지역에 비해 정책수요가 높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종합적인 관점에서 1인가구의 복지정책 수요에 부합하기 위한 시사점과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and policy demand of youth, middle - aged and elderly in single household in Incheon city. Incheon city's single household is expected to grow from 23.3% in 2015 to 34.7% in 2045. Specifically, the growth rate in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of the 8th district is higher than that of the 1 district, but the increase rate of density is higher in the new downtown area. The demographic composition was found to be more frequent in males aged 20 to 59 years and in females aged 60 and older. Based on the data from the 1st to 11th years of the Korean Welfare Panel data, the Incheon city's single household has been located in the welfare blind spot for all generations in income, employment,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demand for policy and its differentiation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one household were also analyzed. Therefore, from a comprehensive point of view, the implications and policy issues for meeting the policy demand of one city a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