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령자가 주택연금을 바라보는 정서적 태도에 관한 연구(The Senior Citizen’s Emotional Attitude on the Reverse Mortgage Payment: Qualitative Research with Focus Group Interview) | 김도균 | 1-26 | 2018.05.28 | - | |
노후소득보장제도의 다양성(Varieties of old-age income protection systems focusing on precarious workers) | 김윤영 | 27-63 | 2018.05.28 | - | |
새정부 주요 복지정책 추진에 따른 국가와 지방의 재정부담 전망과 평가(Projection and Evaluation of the Financial Burdens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ccording to the New Government Welfare Policy -Focusing on Local Governments in Seoul, Busan, Daegu, Chungbuk, and Gyeongbuk-) | 신우진 | 65-94 | 2018.05.28 | - | |
1930-40년대 인구문제 관련 스웨덴 국가연구위원회들에서의 인구정책 및 가족정책 논의(The Discussions on Population Polices and Family Policies in the Swedish State’s Research Committees in 1930s and 1940s) | 신정완 | 95-124 | 2018.05.28 | - | |
네덜란드 근로시간 유연화와 사회보장제에 대한 사례연구(A Case Study on Dutch Labour Market Flexibility and Social Protection System Focusing on the ‘pro rata temporis-principle’) | 이승윤 | 125-155 | 2018.05.28 | - | |
소득불평등과 정부의 개선노력, 정부에 대한 신뢰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Analysis on the Effects of Income Inequality, Government Efforts and Confidence in Government on Life Satisfaction) | 장승록 | 157-181 | 2018.05.28 | - | |
경제생활 위험인식이 주관적 계층의식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 of Economic Risk Perception on Subjective Social Status) | 정윤태 | 183-208 | 2018.05.28 | - | |
성공적 노화와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성별 비교(Comparison of Successful Aging and its Determinents by Gender) | 지혜은 | 209-237 | 2018.05.28 | - | |
임금근로자의 가계자산과 소득이 은퇴시기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s of Paid Workers’ Household Assets and Incomes on the Age of Retirement) | 최은영 | 239-263 | 2018.05.28 | - | |
한국의 세대 간 소득이동성 연구의 메타분석과 변수 설정에 따른 세대 간 소득탄력성 추정치 변화(A Meta-analysis of Korea’s intergenerational income mobility studies and variation of intergenerational income elasticity estimate on variable setting) | 현은주 | 265-299 | 2018.05.28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