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교육홍보사업이 지역주민의 뇌졸중 경고증상 및 골든타임인지도에 미치는 효과(Effects of community-based education and advocacy intervention on public awareness about the warning signs of stroke and the golden window of time) | 이영훈 | 1-10 | 2015.06.30 | - | |
What do we need to be happy? Evidence from a psychosocial perspective | 계수연 | 11-21 | 2015.06.30 | - | |
정신장애인의 스트레스와 생활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주관적 건강수준의 매개효과(Mediating Effects of Subjective Health Rat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Persons with Mental Illness) | 이진향 | 23-32 | 2015.06.30 | - | |
만성신체질환을 지닌 대학생의 낙관성, 억압적 대처와 정신병리증상 및 건강관리행동의 관계(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Repressive Coping, Psychopathological Symptoms, Health Management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with Chronic Physical Diseases) | 최진화 | 33-44 | 2015.06.30 | - | |
부모의 양육방식이 성별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for Adolescent) | 이난희 | 45-55 | 2015.06.30 | - | |
학교를 기반으로 한 청소년 우울증 인식개선교육 프로그램의 효과(Effects of school-based depression awareness education program for adolescent) | 최란 | 57-65 | 2015.06.30 | - | |
근거-기반의 신체활동 사업 모니터링을 위한 정책 제안(Policy Proposal for Monitoring of Evidence-based Physical Activity Projects) | 김완수 | 67-76 | 2015.06.30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