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한국 고령 독거노인의 자기방임에 관한 연구
- 개인저자
- 이민홍
- 수록페이지
- 123-142 p.
- 발행일자
- 2014.03.30
- 출판사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 독거노인의 자기방임 실태와 자기방임의 위험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자기방임을 완화하거나 예방할 수 있는 사회복지정책 수립을 위한 함의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복지개발원의 2012년 부산광역시 독거노인생활 실태조사 에서 지역사회에 혼자 거주하는 만 75세 이상의 독거노인 672명에 대한 면접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기술통계분석을 통해서 자기방임 실태 및 위험요인들의 수준을 제시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을 통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자기방임과 관련이 있는 위험요인들을 규명하였다. 연구결과 본 조사의 전체 참여자 중에서 자기방임에 해당되는 행위를 한 가지 이상 경험한 고령 독거노인의 비율이 21.96%로 나타났다. 자기방임의 위험요인에 관련해서는 기존 결과와 동일하게 고령 독거노인의 경제적 수준이 낮을수록(β= .194, pqqqlt;.001) 그리고 우울증상(β= .309, pqqqlt;.001)이 심각할수록 자기방임적 행위를 많이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기존 연구와 달리 병원을 통해 진단 받은 만성질환(예: 관절염, 고혈압, 요통 신경통, 당뇨병, 심장병, 골다공증)의 수가 많을수록(β= -.120, pqqqlt;.01), 고령 독거노인이 경험하는 자기방임의 수준이 오히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고령 독거노인의 자기방임 문제를 완화하거나 예방할 수 있는 사회복지 정책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evel of self-neglect and risk factors for self-neglect among older-old adults living alone in community so that evidence-based policies for social welfare would be suggested to intervene or prevent self-neglect. Data of face-to-face interviews with 672 older-old adults(+75) living alone older adults were drawn from a survey of the living conditions of older adults living alone in Busan Metropolitan City conducted in 2012 by the Busan Welfare Development Institute.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onducted to show the degrees of self-neglect and risk factors for self-neglec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identify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self-neglect. The results revealed 21.96% of the older-old adults living alone experienced, at least, one form of behaviors of elder self-neglect. Consistent with previous research, higher levels of economic hardship(β=.194, pqqqlt;.001) and depressive symptoms(β=.309, pqqqlt;.001)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higher degree of self-neglect. In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β=-.120, pqqqlt;.01) diagnosed at hospitals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degree of self-negl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everal policies for social welfare were discussed to intervene and prevent self-neglect among older-old adults living alone in South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