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부모의 교육적 동질혼에 따른 자녀 돌봄시간의 불평등(Educational Homogamy and Inequality of Caring Time)
- 개인저자
- 노혜진
- 수록페이지
- 181-200 p.
- 발행일자
- 2014.12.30
- 출판사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동질혼이 자녀를 돌보는 시간의 양적 측면에서 차이를 유발하는지를 검증함으로써, 부모가 소유한 자원이 시간적 측면에서 자녀돌봄의 불평등을 야기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자녀 돌봄시간의 불평등을 발생시키는 요인으로서 동질혼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하여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통해 60세 이하 유자녀 부부의 돌봄시간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고학력 동질혼 부부가 저학력 동질혼 부부보다 하루 평균 100분 정도 긴 시간동안 자녀를 돌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회귀분석 결과, 고학력 동질혼은 자녀에 대한 돌봄시간을 증가시키는 요인인 반면, 저학력 동질혼은 취학연령의 자녀를 대상으로 한 돌봄시간을 감소시키는 요인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격차는 전체 돌봄시간보다 자녀의 발달과 관련된 시간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저소득층 중심의 돌봄시간 보장정책, 부부 의사소통 및 부모교육의 활성화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the resources owned by the parent result inequality in the caring time focusing homogamy. To this ends, this study analyzes caring time of a couple of less than 60 years olds with children through Korean Time Use Survey 2009.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uple with high educated homogamy takes care of their children than low educated homogamy 100 minutes a day more. Second, high educated homogamy is the cause of increasing the caring time. Conversely low educated homogamy reduces the caring time. And this inequality of caring time is more pronounced in the time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child.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time maintenance policy such as care time guarantee policy, the activation of the program such as couples communication and parent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