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사례관리서비스 이용자들의 경험에 기초한 질적 평가 연구(A Qualitative Evaluation Study about Who is Experienced Case Management Service: Gyeonggi-do Province A Case Management Service Provider)

개인저자
이정희
수록페이지
161-190 p.
발행일자
2015.09.30
출판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초록
본 연구는 사례관리서비스 이용자들의 경험을 기초로 이들을 위한 사례관리서비스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질적 평가를 수행한 것이다. 연구방법은 Strauss와 Corbin(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Grounded Theory) 방법을 이근무・이혁구・강선경(2015)이 서비스의 질적 평가를 위하여 변형한 수정근거이론(Modified Grounded Theory) 방법으로 분석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 89개의 개념과 27개의 범주를 구성하였다. 인과적 조건으로 「길항의 기반」, 「궁박한 상황에서 한줄기 빛」, 「고립감의 탈피」, 현상은 「희망의 발견」, 개인 차원의 영향력은 「형식주의로 인한 피로감」, 「직업능력 취약」, 「동병상련 지지」, 「수직적 위계에 대한 불만」, 「낙인의 잔재」, 「공무원 불신」, 「자존감 회복」,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긍정적 사고」, 「노동에서 기쁨 찾기」, 「연대의식」으로 나타났다. 구조적 차원의 영향력은 「사후대처 관행」, 「지지의 역설」, 「사회복지사 지지체계」, 「사회적 학습의 장」, 「적극적 홍보 부족」, 「절대적 일자리 부족」, 「우호적 근린지지체계」, 「연계성 부족」, 결과는 「새로운 사회적 가족의 생성」, 「사회적 회향심」, 「낮은 부가가치」, 「미래지향 관점의 결여」, 「개별성 부족」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인과적 조건과 개인/구조적 차원의 영향력에 대한 대응전략을 제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아래로부터의 평가, 즉 서비스 경험자들을 중심축에 놓고 이들의 주관적 경험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함의를 제시했다. The purpose of this quality study examines who experience case management service and provides improvement plan. we approached Gun-Moo Lee and Hyuk-Goo Lee and Sun-Gyung Jang’s modified Ground theory(2015) which is transshape Strauss와 Corbin’s Ground theory(1998). Results as follows: This study has composed by 89 concepts and 27 categories. The casual conditions are 「the basis of contention」, 「A ray of right from the poverty condition」, 「the molt of isolation」. The phenomenon shows 「the discovery of hope」, the influence of individual aspect is 「the tired of formalism」, 「the weak of vocational ability」, 「the sympathy support」, 「the complaint order of rank」, 「vestige of the stigma」, 「distrust of public officer」, 「the recovery of confidence」. action-interaction strategy represents 「positive thinking」, 「finding happiness of labour」, 「awareness of unity」. The influence of structure aspect is 「the practice of posterior measures」, 「the paradox of support」, 「social worker support」, 「the place of social learning」, 「the lack of positive publicity」, 「absolute the lack of job」, 「in favour of support structure」, 「the lack of connectivity」. The conclusion is 「the creation of new social family」, 「social favour」, 「law added value」, 「the lack of future-oriented」, 「the lack of thisnes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e strategy for causal condition and the influence of individual/structure aspect. Finally, this study suggests improve plan which is based on subjective service user’s experience.
동일 권호의 다른 기사
동일 권호의 기사 최대 5건을 제공합니다.권호정보 보기
권/호
제42권 제3호 (2015년 9월)
발행일
2015.09.30
구독상태
기사명저자페이지내용보기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급여기준선 도출 방안 연구(A Study on the Alternative Official Poverty Threshold for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Program: Focusing on the Harmony of Minimum Guarantee and Relativeness)홍경준1-26
대학진학에서의 계층격차: 가족소득의 역할(Gaps in College Entrance: Role of Family Income)구인회27-49
육아휴직제도의 부모권 보장성에 관한 탐색적 사례연구(An Exploratory Case Study on the Parental Right Guarantee of Parental Leave System)안희란51-75
사회복지사무의 지방이양에 따른 기초자치단체의 재정불균형 완화방안(Reducing Plan for the Fiscal Imbalances between Local Self-Governments According to Local Social Welfare Affairs Transfer)안홍순77-106
여성의 노동공급유형 및 임금결정요인 분석(An Analysis on Labor Supply Behavior and Earnings Gap in Female: A Comparison of the Self-Employment and Paid-Employment Sectors)최민정107-133
저자의 다른 기사
동일 저자의 최근 기사 최대 5건을 제공합니다.
기사명저자발행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