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최저주거기준미달가구의 결정요인(The Determinants of Sub-standard Housing: Focusing on the Characters of the Districts)
- 개인저자
- 임세희
- 수록페이지
- 47-73 p.
- 발행일자
- 2015.12.30
- 출판사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초록
본 연구는 2014년 주거실태조사를 활용하여 최저주거기준미달가구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주거는 지역 내에 위치하며, 지역의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서 지역특성을 주거 분석에 포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저주거기준미달가구 결정요인 분석에 있어 위계적 일반 선형 모형(HGLM)을 이용하여 가구요인 뿐만 아니라 지역요인의 영향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가구주가 남성일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비수급가구일수록, 비장애가구일수록, 자가가구일수록 기준미달주거에 거주할 확률이 줄어드는 반면에 아동수가 많으면 확률이 증가하였다. 지역요인의 경우 지역 내 공공임대주택이 많을수록 개별가구가 기준미달주거에 거주할 확률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며, 지역의 평균 월세와 기준미달주거간에는 유의미하지는 않으나 정적인 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최저주거기준미달이라는 주거빈곤 위험에 노출된 가구의 특성을 알 수 있었으며, 공공임대주택 확대의 경험적 근거를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임차인 보호 및 국민기초생활보장가구 주거지원 정책에 대한 주거복지적 함의를 얻을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determinants of sub-standard housing using the 2014 fact-finding survey of housing. The housing is located in the districts and affected by the characters of the districts. So,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s of characters of districts as well as the effects of characters of family, taking advantage of HGLM(Hierarchical General Linear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ale householder, higher educational level, non-public transfer recipient, non-disable householder, the ownership of housing are the factors that decreased the odds of sub-standard housing and the more children are the factors that increased the odds of sub-standard housing. And the more public housing in the districts decreased significantly the odds of sub-standard housing. There is positive relation between higher rent of districts and the odds of sub-standard housing Through this study, It is known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useholds which are at risk of households below minimum housing standards(sub-standard housing). Best of all, it is secured basis that the policy of public housing should be expanded. Also, this study offered the implications for policy of tenant protection and the housing support for public transfer recipi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