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Relationship of Maternal Employment in Infancy and Parenting Practices to Child Development during the Preschool Years(모의 이른 경제활동 및 부모역할과 유아 발달의 관련성 분석)

개인저자
김인경
수록페이지
5-46 p.
발행일자
2017.03.30
출판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초록
This paper investigates the associations between early maternal employment, parenting practices and the cognitive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of preschool children. I use data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a unique dataset in Korea that measures development of preschoolers with a rich set of famil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 find that a new mother working 7 to 12 months after birth has a negative association with a child’s peer interactions. It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starting from 6~8 months, children feel highly anxious when they are separated from attachment figures. This result suggests that new mothers need to take parental leave or obtain a flexible work schedule in the second half of their child’s first year. Parenting variables such as maternal depression, parenting stress, parenting styles and the quality of parent-child interactions are associated with various measures of a child’s cognitive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The level of parents’ education appears to be positively linked to the child’s vocabulary. This supports the possibility that effective parenting practices can suppress th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education and a child’s cognitive skills. On the other hand, no firm link is apparent between the level of parental education and a child’s socio-emotional development. This implies that parent education programs need to reach parents who fall short of parenting skills rather than target those with lower education attainment. 본 연구는 2008~2013년 한국아동패널을 이용해 모의 이른 경제활동, 부모역할과 유아의 인지적·사회정서적 발달의 관련성을 다중회귀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어머니의 이른 경제활동은 출산 후 0~6개월의 근로시간과 7~12개월의 근로시간으로 구분해 나타내고, 부모역할은 부모의 양육행동과 양육 스트레스, 부의 양육 참여 정도, 부모-자녀의 상호작용 방식, 물리적 가정환경 조성 수준 등으로 측정하였다. 유아의 인지 능력은 표현어휘력, 수용어휘력 점수로, 사회정서적 능력은 또래와의 상호작용, 내재적 문제행동, 외현적 문제행동 점수로 가늠하였다. 분석 결과, 모의 출산 후 7~12개월 내 근로시간과 자녀-또래의 상호작용은 부(-)의 관련성이 있었다. 이는 아동의 발달단계 상 6~8개월부터 애착 대상과의 분리불안이 시작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모의 양육 스트레스는 모든 사회정서적 발달 지표와, 아버지 양육 스트레스는 수용어휘력, 자녀-또래 상호작용과 관련 있었다. 어머니 양육행동은 표현어휘력, 자녀-또래 상호작용, 외현적 문제행동과, 아버지 양육행동은 수용어휘력, 내재적·외현적 문제행동과 관련되어 있었다. 부모-자녀 상호작용 방식은 수용어휘력, 자녀-또래 상호작용, 외현적 문제행동과 연관되어 있었다. 한편, 부모의 학력은 유아의 인지 능력과 정(+)의 관련성을 보였지만, 사회정서적 능력과는 유의미한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양육지원정책과 부모교육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