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경력단절 여성베이비부머의 노동시장 복귀에 관한 분석(Analysis of Career Interrupted Female Baby Boomer’s Return to the Workforces)
- 개인저자
- 최민정
- 수록페이지
- 105-133 p.
- 발행일자
- 2017.03.30
- 출판사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초록
본 연구는 여성베이비부머의 노동시장 복귀 양상을 유형화하고 노동시장 특성, 인구학적 특성, 그리고 가구특성이 노동시장 복귀유형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경력단절 경험을 중심으로 여성베이비부머들의 노동시장 복귀에 관한 동태적인 분석을 행하고자 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사건배열분석(sequence analysis)을 통하여 고용상태 변화에 대한 체계적 이해의 구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수준에 따른 노동시장 복귀여부에 차이가 있었으며 대졸 이상 학력 여성들이 경력단절 경험 이후 노동시장에 복귀하지 않은 비율이 더 높았다. 둘째, 사건배열분석을 통해 노동시장 복귀형태를 유형화한 결과 상용직 경력유지형, 지속적 경단 후 불안정노동형, 자영업 이후 미취업형, 지속적 무급가족종사자형, 장기미취업형의 다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다항로짓분석을 통해 노동시장 복귀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을 탐색한 결과 교육년수, 배우자 소득, 초산연령, 출산 전 직종 등이 노동시장 복귀유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여성베이비부머의 노동시장 복귀의 대표적인 양상을 제시하고 유형에 따른 특성 차이를 보여줌으로써 노동시장 복귀유형별 고용지원 강화, 중고령 여성 적합 직종 발굴 및 일자리 창출, 고용지속을 위한 사후관리의 강화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purpose was conduct a dynamic analysis of career interrupted female baby boomer’s return to the workforce through sequence analysis. And this study tracks 14 years after the career interruption. This study based investigation on the data complied by the KLIPS, where the workforce performance is the focal point of it’s research. The findings of study were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study, years of education is a vital factor in female baby boomer’s return to the workforce. Second, sequence analysis produced 5 groups – continuous regular employment, continuous career interrupted after precarious employment, business owner and unpaid family worker, precarious employment after unemployment, and continuous unemployment. Last, result of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at pre-career interrupted job family was a permanent employment larger than continuous career interrupted after precarious employment, business owner and unpaid family worker relatively continuous unemploymen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enlargement of employment policy for prevent female baby boomer’s poverty and social exclu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