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시장형 노인일자리사업의 사회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The Factors Affecting on Social Performance of Marketable Elderly Job Supporting Program : The Mediator Effect of Economic Performance)

개인저자
박경하
수록페이지
211-237 p.
발행일자
2017.06.30
출판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초록
본 연구는 사회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그 인과관계에서 경제적 성과의 매개효과가 나타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2015년도 새누리정보 DB 자료를 이용하여 Baronqqqamp;Kenny(1986)이 제안한 매개변수 효과를 검증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적 성과인 1인당 참여개월 수에 신규여부, 계획예산총액, 사업운영개월 수, 수행기관사업단 수가 경제적 성과를 높이면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 다른 사회적 성과인 1인당 월평균 보수에 전담인력수가 경제적 성과와 함께 높이는데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여성참여자 수는 1인당 참여개월 수에 매개효과를 보이며 영향을 주었고, 평균연령은 부적인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며 1인당 월보수 수준을 낮추는데 영향을 미쳤다. 자체지출총액은 경제적 성과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1인당 월보수 수준을 높이는데 기여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on social performance and their causal relationship when economic performance was assumed a mediating variable. With using Marketable Elderly Job Supporting Program Database, we adopted the method of testing mediating effect, which was proposed by Baron and Kenny(1986). Our results showed that the length of participating months per person, total planning budget, the number of months in running business management, and the number of organizations for performing this project contributed to improve economic performance rate. In addition, the average monthly wage per person and the number of full-time specialists resulted in increasing economic performance level. By contrast, the number of women participants showe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number of participating months per person. The mean age of participants exhibited a mediating effect with negative association, while it led to depress monthly paycheck level per person. The total amount of expenditure for managing organization had negative effect on the economic performance, whereas it helped to raise up the average monthly earnings per per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