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역사적 제도주의의 진화론적 접근을 위한 시론(An Essay on the Evolutionary Approach of Historical Institutions: With focus on the changing progress of the school meal support)

개인저자
이재술
수록페이지
5-37 p.
발행일자
2017.09.30
출판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초록
역사적 제도주의 시각의 최근 연구 흐름은 구조중심주의라는 비판을 극복하고 빈번한 제도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행위자를 분석 대상에 포함시키고 있다. 더 나아가 제도변화를 명시적으로 진화로 이해하고 있다. 그러나 역사적 제도주의 시각의 제도변화 연구들은 다음과 같은 한계를 노정하고 있다. 첫째, 행위자를 분석대상에 포함시키면서도 행위를 설명할 이론적 분석틀을 공유하지 못하고 있다. 둘째, 변화를 진화로 명시적으로 표현하면서도 정작 진화에 대한 이론적 접근은 소홀했던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역사적 제도주의가 노정해온 이런 이론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문화적 진화이론을 접목해 보고자 한다. 도출된 분석틀을 적용하여 경상북도의 학교급식 지원 정책 변동과정을 분석한 결과 거시 구조와 제도적 맥락의 변화에 따른 행위자의 전략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을 통해 거시 구조와 제도적 맥락 변화가 제도변화에 미치는 영향과 진화론적 관점을 통해 행위와 제도 진화 메커니즘을 설명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설명방식이 그동안 노정해온 역사적 제도주의 제도변화 이론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s seen in the trends of the latest research on historical institutionalism viewpoints, doers are included in its analysi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called the structure-specific and to give explanations to frequent changes in systems. In addition, changes in systems are specifically understood as a progress. However, the studies on the changes in systems concerning the historical institutionalism viewpoints have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even with the doers included into the target of analysis, the theoretical analytical framework to elucidate the doers’ actions; and second, although changes were explicitly expressed as a progress, there was lack of a theoretical approach to the progress. This study aims to incorporate a cultural progressive theory to overcome such theoretical limitations historical institutionalism revealed. The analysis of the school meal support policy of the Gyeongsangbuk-do based on the elicited analytical framework shed light on the doers’ strategic changes in line with the changes in macroscopic structures and systemic contexts. This research intends to give explanations on what impact macroscopic structures and the changes in systemic contexts have on the changes in systems and on actions and systemically progressive mechanism from progressivism viewpoints. It is expected that the way this research explains would compensate the theoretical limitations of the changes in systems about the thus far revealed historical institutional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