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어머니의 공동체의식과 행복감, 유아의 자아탄력성과의 구조적 관계분석(The Structural Analysis of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Sense of Community, Happiness and Ego Resilience)
- 개인저자
- 최윤지
- 수록페이지
- 49-81 p.
- 발행일자
- 2017.04.23
- 출판사
- 한국사회정책학회
초록
본 연구는 어머니의 공동체의식과 행복감 및 유아의 자아탄력성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어머니의 공동체의식과 유아 자아탄력성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포항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5곳의 만 3~4세 유아 223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공동체의식 척도, 다면적 행복감 척도, 유아 자아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SPSS 21.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및 연구도구의 신뢰도, 자료의 정규성을 검정하였다. AMOS 21.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을 위한 구조방정식 모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 공동체의식과 행복감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어머니 행복감과 유아 자아탄력성 역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어머니 공동체의식의 소속감은 유아 자아탄력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공동체의식은 어머니의 행복감을 완전매개하여 유아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method)을 통해 유아 자아탄력성에 대한 어머니 공동체의식의 간접효과가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어머니의 공동체적 삶의 태도가 행복감을 증진시켜 궁극적으로 자녀의 심리사회적 발달에 간접적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에서 주로 분리되어 연구되었던 어머니 공동체의식과 행복감을 동시에 살펴봄으로써 변인 간 직․간접적 경로를 밝혀내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특히 인간소외와 이기주의 풍토가 만연한 현대적 삶에서 요구되는 공동체의식이 어머니 자신의 행복과 자녀 자아탄력성을 예측하는 주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추후 공동체의식 및 행복감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sense of community, mother’s happiness and ego resilience of preschool children, and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s happiness. Subjects, 223 young children’s mothers in early childhood institutes in Pohang city,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sense of community, happiness, and ego resilience. For data analysis, SPSS 21.0 program was used to examine the general quality of sibjects, reliailbity of major study tool, and nomality of collected data. Also,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validated using AMOS 21.0 program.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mother’s sense of community and happiness was positively associated. Also, mother’s happiness and ego resilience of young children was positively associated. Only mother’s sense of belonging , which is a sub factor of sense of community, was related to ego resilience of young children positively. Second, mother’s sense of commun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mother’s happiness, and mother’s happi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go resilience of young children. But, mother’s sense of community did not have direct effect on the ego resilience of young children. Mother’s happiness was found to play a role of full mediation variable between mother’s sense of community and ego resilience of young children. The indirect effects of mother’s sense of community on ego resilience was verified by using Bootstrapping method. With these findings, mother’s communal living will improve mother’s happiness, and ultimately will have an indirect effect on their children’s psychosocial development. This study have a different signification from preceding research, which conducted partitively three variables which was examined syntagmatically in this study. Especially, in theses days, climate of selfishness of life and human alienation are rampant in our society. This study found out that mother’s sense of community was definitely one of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predicting mother’s happiness and ego-resilience. Later research can make a use this study to establish the parental education which promotes mother’s sense of community and happi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