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수도권지역 사교육 산업의 성장과정과공간적 변화(Growth Mechanism of Private Tutoring Industries and The Spatial Impacts o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the Metropolitan Seoul Area: Focused on The Interactions among Private Tutoring Industries, Educational Demand and Government Policies for Education)

개인저자
박소현
수록페이지
249-281 p.
발행일자
2015.04.23
출판사
한국사회정책학회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수도권지역 사교육 산업의 성장과정에서 나타나는 공간적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정부의 사교육 관련 교육정책이 기존의 사교육 완전 금지시기에서 벗어나 사교육을 부분적으로 수정·보완하게 되는 1990년대 초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20여 년간 사교육 산업의 성장과정을 교육정책, 교육수요, 교육환경의 측면에서 다각도로 분석하였다. 특히, 사교육 관련 정책과 사교육 수요를 토대로 급속히 성장해온 사교육산업이 수도권지역 교육공간의 형성과 재구조화에 끼친 영향과 그 특징을 중점적으로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사교육 산업의 성장은 정부의 사교육 관련 정책 변화와 사교육 수요, 공교육 및 사교육 환경과 상당히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들 간의 상호관계를 검증하였다. 사교육 산업의 성장에서 나타나는 공간상의 변화는 사교육의 보편적 확산에도 불구하고 수도권의 일부 특정지역을 중심으로 사교육 산업의 집적화가 나타나고 있었으며, 사교육 공급의다양화, 세분화 추세에 따라 사교육 수요의 공간적 집중현상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의 사교육 관련 정책의 문제 접근과 방향설정을 위해서는 지역성에 기초한 교육공간의구조 분석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growth mechanism of private tutoring industries and the spatial transition process of educational environment in the Metropolitan Seoul Area. In particular, we focus on their interactions among private tutoring industries, educational demand, and government education policies. For the purpose, we review the growth trends of private tutoring industries in first, and then analyze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private tutoring industries and youth population which constitute their demand during the last two decades. The growth mechanism of private tutoring industries is verified by considering dynamic relationship among them comprehensively. We examine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the quantitative and locational changes in the private tutoring industries and the government policies for education, formal school education, and residential choice of families having children. The growth of private tutoring industries has been related significantly with the government policies for education and the qualitative degradation of formal school education as well as the changes in the educational demand according to the income level increase and competitive global economic situation. The locations of private tutoring industries have been determined by the locations of formal schools and youth population in the beginning, while their locations have been attracted to the families having children in the later. The trend instigates the agglomeration of the private tutoring industries into a few places with the diversification of private tutoring industries, These places obtain prestige for private tutoring environment, and thus getting more locational attr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