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지역사회 구조적 환경과공동체의식에 따른 여성의 안전의식(A study on the impacts of the structural community contexts and sense of community on sense of safety among women)

개인저자
박영희
수록페이지
288-311 p.
발행일자
2015.04.23
출판사
한국사회정책학회
초록
이 연구는 지역사회의 구조적 환경과 공동체의식이 여성의 안전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원시에 거주하는 총 386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실시된 면접조사 자료와 조사대상 여성이 거주하는 20개 동의 사회지표 자료를 활용하였다. 또한, 지역변수와 개인변수들을 모두 고려하여 여성의 안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다수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지역사회 구조적 환경 특성 중 경제적으로 빈곤할수록 그리고 외국인 비율이 높아인구 구성이 다양한 지역일수록 여성은 지역사회에 대하여 더 불안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역사회에 대한 공동체의식이 강할수록 여성은 지역사회에 대하여 더 안전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성의 안전의식을 도모하기위하여 저소득층 지역의 주변 및 주거 환경개선, 외국인과의 상호호혜적인 지역 문화 형성, 그리고 지역사회의 참여 증진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structural community contexts and sense of community on sense of community among women. A door-to-door survey was conducted to collect the individual-level data from 385 women. The social indicators of 20 residential district was collected for the community-level data. The results of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 analysis showed that women who live in the community with the higher percentage of the low-class population and the foreigners are less likely to feel that their community is safe. In addition, women who have more sense of community are more likely to feel that their community is safe. Suggestions were made that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neighborhoods and housing, the building of the reciprocal culture for the foreigners in communities, and the facilitating of the community particip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