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담론과 제도의 친화성(Affinity between Recipients Discourse and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Program)

개인저자
김윤민
수록페이지
117-151 p.
발행일자
2016.10.23
출판사
한국사회정책학회
초록
본 연구는 수급률, 기초보장제도 지출 규모, 복지 기조 등을 고려하여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시행시기를 제도 확대기와 제도 축소기로 구분하고 비판적 담론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각 시기별 수급자담론과 제도 변화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제도 확대기의 ‘수급자 타자성 무력화 담론’ 이 제도 축소기에는 ‘수급자 타자성 부각 담론’으로 담론 지형의 변형이 포착된다. 제도 확대기의 수급자 타자성 무력화 담론은 수급자를 개인적 결함이 있는 대상에서 사회・구조적 문제로 피해를 입은 대상으로 전환하고 제도 확대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을 시도한다. 이 시기에는 제한적이지만점진적으로 수급 기준을 완화하며 수급자 규모를 확대하고 보장성을 강화하기 위한 제도 개선이 단행된다. 수급자 타자성 무력화 담론의 영향력은 진보정권의 복지확대 기조와 상응하는 과정에서 더욱 강화되었고, ‘담론화된 허구의 진실’인 수급자 복지의존 담론의 해체를 시도한 시민단체의 활동을 통해서 사회적으로 지지되었다. 반면, 제도 축소기에 형성된 ‘수급자 타자성 부각 담론’에서는 수급자와 비수급자를 구별짓고, 수급자를 ‘우리’와 다른 ‘이방인’이자 ‘타자’로 재현한다. 이 과정에서수급자의 부정성은 ‘수급자 전체’의 전형적인 특성으로 인식되며, 사회의 안정 유지를 위해 수급자의 부정성을 ‘적발’, ‘색출’, ‘근절’하기 위한 감시와 통제의 필요성이 확대된다. 수급자 타자성 부각담론은 복지재정 누수 담론과의 연결을 통해 ‘지방정부 복지재원 축소’의 실체적 측면에 영향력을행사하며 ‘사회정책의 개인화’를 추동한다. 수급자 담론 형성 과정에서는 언론의 정파성과 언론과정당의 병행 관계가 뚜렷하게 부각되며 해당 시기에 집권한 정부의 복지기조와 수급자 담론 구조사이의 높은 관련성이 드러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structuralized discourse was related to changes in policies. Newspaper reports are used as analytical resources.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into two aspects. First of all, differentiated discourse about recipients is included in the period of expanding or reducing the policies classified by considering take-up rate, official social expenditure, scale of expenses for basic livelihood security, and welfare basis. In the period of expanding the policy, ‘discourse about incapacitation for otherness among recipients’ is formed. Secondly, This converts recipients from those in special circumstances with personal defects to social members damaged with social and structural issues and makes an attempt to form social sympathy on expansion of policies. On the other hand, ‘discourse about emphasizing otherness of recipients’ is formed in the period of red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