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보수주의 복지이론의 이해(Understanding the Neoconservative Welfare Theory) | 조영훈 | 9-36 | 2014.09.30 | - | |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자 참여로서의 가족 돌봄자 운동조직 사례연구 - 영국 Carers UK를 중심으로-(A Case Study on Carers` Movement Organization as User Involvement) | 최희경 | 37-70 | 2014.09.30 | - | |
유럽의 이민자통합정책과 시민권의 재구성: 네덜란드와 영국 사례를 중심으로(Immigrant integration and reconfiguration of citizenship in Europe: cases of the Netherlands and the United Kingdom) | 이선주 | 71-92 | 2014.09.30 | - | |
시간선택제 일자리 정책의 분석과 평가: 한국, 네덜란드, 독일 비교 연구(Analysis of the "Time Selective Job policy": A Comparative Study on South Korea, Netherlands and Germany) | 김유휘, 이승윤 | 93-128 | 2014.09.30 | - | |
가구의 경제적 수준이 출산행위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s of Household's Economic Status on the Childbirth) | 김선숙, 백학영 | 129-157 | 2014.09.30 | - | |
취업, 임금, 재실업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본 한국 실업자 직업훈련의 효과성 분석(The analysis of job-training for the unemployed: focusing on employment, income, re-unemployment) | 이서윤 | 159-187 | 2014.09.30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