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성은 위험수준을 낮추는가?:OECD 국가를 중심으로(Does publicness reduce risks?:examined across OECD countries) | 구혜란 | 19-47 | 2015.01.23 | - | |
일본의 공공성 변화가 후쿠시마원전사고 극복과정에 미친 영향(The Effect of the Publicness Crisis on the Overcoming Process of Fukushima Nuclear Disaster) | 김지영 | 49-81 | 2015.01.23 | - | |
사회적 재난으로서 허리케인 카트리나: 정부 실패와 위험 불평등(Hurricane Katrina as Unnatural Disaster: Government Failure and Inequality of Risk) | 고동현 | 83-119 | 2015.01.23 | - | |
공공성을 기반으로 한 독일의 위험거버넌스: 탈핵 결정 사례를 중심으로(Risk governance as seen from Germany’s Nuclear Phase-out) | 김주현 | 121-153 | 2015.01.23 | - | |
네덜란드의 홍수 위험 극복과 공공성‑ 1953년 대홍수와 이중학습의 진전(The successful management of flood risk and publicness in Netherlands: double-loop learning after the flood in 1953) | 정병은 | 155-184 | 2015.01.23 | - | |
제도병치를 통한 한국 공적연금제도의다층구조화 과정 연구(Policy Layering and the Multi-pillar Restructuring of the Public Pension System in Korea) | 김도균 | 187-215 | 2015.01.23 | - | |
가구주의 특성과 국민건강보험의보장성인식이 민간의료보험의 가입에미치는 영향(The effect of householder’s characteristics and perceptions of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coverage on getting private medical insurances) | 박정호 | 217-241 | 2015.01.23 | - | |
중국 이중노동시장의 형성에 대한제도주의적 분석(Explaining Dual Labour Market in China with an Institutional Approach) | 김유휘 | 243-284 | 2015.01.23 | - | |
가족정책 지원유형에 따른 성역할태도 변화: 현금, 시간, 서비스지원을 중심으로(The change of attitudes to gender role according to type of family policies: focusing on cash, time and service) | 김사현 | 285-316 | 2015.01.23 | - | |
불평등에 대한 재검토: 복지국가 사회정책의 성과지표로 타당한가?(Inequality Re-examined: Valid Indicator of Impacts of Social Policies of the Welfare States?) | 한동우 | 317-343 | 2015.01.23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