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이용한 만성질환자의 미충족 의료 현황 분석

개인저자
임지혜
수록페이지
237-256 p.
발행일자
2013.12.23
출판사
한국보건사회학회
초록
"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문제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되어지는 ‘미충족 의료’는 현상 그 자체나 수치상의 결과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사망률을 높일 수 있으며, 적절한 시기에 치료 받지 못하게 됨으로써 환자들의 질병 중증도를 높이고 합병증 발생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는 대표성이 있는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미충족 의료 현황을 살펴보고, 미충족 의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해 보고자 시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2009년 한국의료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미충족 의료여부 조사에 응한 만성질환 보유자 7,371건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자의 의료이용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미충족 의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로지스틱 회귀분석 기법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미충족 의료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성, 연령, 보험유형, 세대구성, 경제활동, 가구소득, 만성질환 수, CCI(Charlson cormorbidity index) 지수, 주관적 건강상태로 나타났다. 여성, 40세 미만, 의료급여, 1인 가구, 경제활동을 하는 경우, 가구 소득이 낮은 경우, 만성질환의 개수가 많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쁘다고 느끼는 경우 미충족 의료 확률이 높아짐이 확인되었다. 이는 여성과 단독가구를 위한 의료의 접근성이 좀 더 개선되어야 함을 의미하며 저소득층에 대한 건강보험과 의료급여의 보장 수준을 높여야 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들은 향후 의료보장제도의 평가와 보건의료 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로 의미 있게 활용되어질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