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출산결과에 대한 부(父)의 연령 효과: 생애적 접근의 탐색적 적용

개인저자
이상림
수록페이지
175-209 p.
발행일자
2014.06.23
출판사
한국보건사회학회
초록
우리사회의 저출산 경향 속에서 건강한 아이의 출산이 갖는 중요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으나, 저체중아나 조산아 출산과 같은 출산결과 이상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지금까지 국내에서는 출산결과 결정요인에 대하여 임산부의 연령효과에 주목하면서 다른 변인들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더디게 진행되었다. 이 연구는 통계청의 출산자료 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 출산결과의 동향을 살펴보고,저체중아와 조산아 출산에 대한 결정요인들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특별히 그간 국내에서는 주목받지 못했던 부(父)의 연령과 그 외 사회경제적 요인들의 영향에 주목하였다. 분석결과는 이상 출산결과의증가는 고령산모의 증가가 아닌 모든 연령에서 나타나는 이상출산율의 증가에 기인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는 우리나라 여성들의 전반적 출산건강의 악화를 의미한다. 출산결과 결정요인 분석 결과는모(母)만 아니라, 부(父)의 연령효과도 확인되었는데, 고연령뿐만 아니라 저연령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저연령 효과는 사회경제적 요인들을 통제하였을 때 현저히 낮아졌다. 연령 이외에도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혼전임신 여부, 그리고 지역 등의 효과들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들은 출산건강 증진을 위해서 생의학적 요인들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인 요인들의 관리의 중요성과 특정 고위험군이 아닌 전체 인구를 대상으로 하는 예방적 접근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서는 생애적 접근에 기반을 둔 임신이전부터의 출산건강 관리(preconceptional care)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