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마음수련 명상이 대학생의 정서상태에 미치는 효과(The effects of mind-subtraction meditation on emotional state of college students - utilizing Silver’s Draw-A-Story and Wartegg-Zeichentest tool)
- 개인저자
- 이은진
- 수록페이지
- 231-267 p.
- 발행일자
- 2016.09.30
- 출판사
- 한국보건사회학회
초록
본 연구는 마음수련 명상이 대학생의 정서상태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 나아가서는 대학생 인성교육 실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로써, 응급구조학과 재학생 중 마음수련 명상에 참여한 38명을 실험군으로 참여하지 않은34명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여, 마음수련 명상 실시 전과 8주간의 명상 완료 직후에 실버 이야기그림검사(Draw-A-Story)와 발테그 자극그림검사(Wartegg-Zeichentest tool)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정서상태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마음수련 명상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실버이야기그림검사와 발테그 자극그림검사 총점이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발테그 그림검사 하위요인중 성취와 상승 욕구에 필요한 에너지, 갈등과 긴장에 필요한 에너지, 지성과 이성의 통합능력에서 특히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은 본 명상을 통해 열등감과 미래에 대한 불필요한 불안과 걱정 등이 해소되면서 나타난 결과로 보여진다. 결론적으로 마음수련 명상은 대학생의 정서상태를 향상시키는 실효성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객관적인 근거를 제공해주고 있다. 이에 마음수련 명상은 대학생의 정서지능을 높이는데 효과적인 인성교육 방법으로 제안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s purpose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ind-subtraction meditation on emotional state of college students. Its additional purpose was to contribute to advancing fundamental educational knowledge on character development for college students.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used non-equivalent comparison group, pre and post-test design, to measure the effects of mind-subtraction meditation on college students studying emergency medical service. An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38 participants who attended the meditation program and a control group consisted of 34 non-participants of the program; both groups were given pre-test and post-test of Draw-A-Story(DAS: Earwood, Fedorko, Holzman, Montanari qqqamp; Silver, 2004) and Wartegg-Zeichentest tool(WZT: 福屋武人 qqqamp; 松原由枝, 1996), before and after 8 weeks of the meditation program to measure their emotional states. The study results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on the experimental group’s total scores of both DAS and WZT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especi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noted in the subscores of WZT which measured energy levels related to achievement and desire to advance, energy levels related to conflict and tension, and integrative ability for intellect and reasoning. These improvements seemed to be due to decreased anxiety and worries (related to inferiority and uncertain future) as a result of the meditation prac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