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아동·청소년기 비만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의 시기별 비교(The Effect of Obesity in Youth on Self-Esteem :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

개인저자
정은석
수록페이지
267-294 p.
발행일자
2014.12.23
출판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초록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의 비만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시기에 따라 어떠한지 살펴보고 동시에 그 영향이 시기별로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에서는 비만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발달단계에 관계없이 일률적일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아동·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단순히 자기 자신에 대한 인식이 아닌 다른 사람과의 비교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러한 비교의 대상은 발달단계별로 다를 수 있다는 점에서 시기별로 비만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수 있다. 또한 비만과 같이 신체적 측면은 여성이 남성에 비해 자아존중감 측면에서 더 많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한국복지패널 아동부가조사’를 활용하여 초등학생 733명, 중학생 544명, 고등학생 489명을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교 시기에는 비만이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중학교 시기에서는 비만이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고등학교 시기에서만 저체중 여학생의 경우,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건강한 심리사회적 발달을 위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the effects of obesity on self-esteem differ depending on developmental stages and gender. Previous studies assumed that the effects of obesity on self-esteem is fixed. Since self-esteem is formed not by absolute status but by comparison with other people and the adolescent's social comparison skill develops in multifaceted order, the effects of obesity should be tested on developmental perspective. Also, the effect of obesity which is related to appearance can be more affective to women's self-esteem than men's. Using data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regression was done involving 733 elementary school students, 544 middle students and 489 high school student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effects of obesity on self-esteem were significant only for middle school students. (2) The effects of obesity on self-esteem vary by gender only for high school students, indicating that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re more vulnerable than males.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implications for healthy psychosocial development for adolesc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