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저소득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우울에 미치는 영향
- 개인저자
- 이주연
- 수록페이지
- 293-312 p.
- 발행일자
- 2015.06.23
- 출판사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는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 3차년도(2010년) 자료 중 23개월에서 29개월의 아동을 둔 저소득가정 어머니 174명이었다. Baron과Kenny(1986)의 매개분석 방법과 Sobel Test를 실시하여 검증한 결과, 저소득가정 어머니가지각한 양육스트레스는 우울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자기효능감은 양육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저소득 가정 어머니를 위한 우울예방 및 개입 방안이 양육스트레스 감소와 자기효능감 증진에 초점을 두어 개발하고 실행되어야 함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among mothers in low-income families. The study sample of 174 mothers with 23-29 month-old children was taken from the 3th Korean Child Panel (2010) by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Using Baron qqqamp; Kenny(1986)'s mediating analysis and Sobel test, the study found that parenting stress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depression among mothers in low-income families, while self-efficacy plays a partially mediating role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th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for depression among mothers in low-come families must pay attention to decreasing parenting stress and improving self-effic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