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부부의 근로소득연관성과 가구근로소득 불평등 관계에 관한 연구(Income Inequality and Association between Spouses’ Earnings in South Korea)

개인저자
이선화
수록페이지
5-32 p.
발행일자
2015.12.23
출판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초록
본 연구는 부부의 근로소득 연관성이 지난 25년간 한국의 가구근로소득 불평등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결혼이 경제적인 안정을 위한 남성과 여성의 합리적인 판단을 반영한다고 가정할 경우 경제적 능력은 배우자 선택에 중요한 고려 요소로 자리잡는다. 이 때 고소득 남성과 여성이 결혼을 통해 가구를 형성하고 저소득 남성과 여성이 가구를 형성하는 '끼리끼리' 경향이 강화될수록 가구근로소득 불평등은 악화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부부의 소득 연관성이 불평등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데 사용한 방법론의 한계를 지적하고, 이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부부의 근로소득연관성을 구성하는 요인을 세 가지로 분해하여 각각의 요소가 불평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가계동향조사 연간 자료를 이용하여 도시에 거주하는 유배우자 가구를 대상으로 로그선형모형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 맞벌이 부부의 근로소득연관성이 불평등도 계산 방식에 따라 작게는 1.67%, 크게는 14.21%의 불평등 변화를 설명하였다. 부부의 근로소득이 유사해지는 정도가 불평등도를 소폭 악화시켰으나 남편의 소득과 아내의 노동 시장 참여 여부 사이에 부적인 관계가 여전히 강하게 존재해 한국에서는 부부의 근로소득 연관성으로 인한 불평등이 심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effects of spouses’ earnings association on household inequality in South Korea during the last 25 years. To better analyze the impact of couples' earning association, I decompose the association into three dimensions. First, I would see if there are increases in the association between dual-earner couples' earning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husbands' earnings and the odds that wives work is considered. Lastly, the mere increase of dual-earner couples is separately counted. I use log-linear models and Household Survey Data from 1990 to 2014. Log-linear models enable me to interpret each element's contribution to inequality in a counter-factual terms. The results show that changes in the association explain inequality from 1.67% to 14.21%, depending on how you measure inequality. Not surprisingly, the negative relation between husbands' earnings and the odds that wives work do not appear yet in Korea. This element largely offsets the other two elements' influence on increasing inequality. Overall, the association between spouses’ earnings has not been putting serious threats on household inequality. While the income inequality appears to be a serious social problem in Korea, this result implies other than individual's achievement plays an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the household ine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