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모의 심리적 특성 및 가정환경이 출산의도와 출산행동에 미치는 영향(The Influence of Matern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Family Environment on the Intension of Childbirth and Actual Birth)
- 개인저자
- 배광일
- 수록페이지
- 59-84 p.
- 발행일자
- 2015.12.23
- 출판사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초록
본 연구는 모의 심리적 특성과 가정환경이 출산의도와 출산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종단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취업여부에 따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미취업모가 취업모에 비해 양육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고, 가정 내 스트레스 상황에 더 많이 노출되어 있지만, 가구소득이나 남편의 양육참여 같은 긍정적인 요인은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취업모와 취업모 모두 심리적 요인인 자녀가치와 가정환경 요인인 자녀수가 출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부갈등은 취업모의 출산의도에 영향을 미치지만, 결혼만족도는 취업모의 출산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미취업모의 출산행동에는 가정환경변인만이 영향을 미치지만, 취업모의 출산행동에는 심리적 특성과 가정환경이 모두 영향을 미쳤다. 넷째, 모의 취업여부와 상관없이 자녀수와 출산행동과의 관계에서 출산의도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모의 취업여부에 따라 개인 심리적 특성이나 가정환경의 차이가 있으며, 출산의도나 출산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자녀수가 출산행동에 영향을 줄 때 출산의도를 매개로 한다는 것과 출산의도가 출산행동의 중요한 요인이지만 모든 출산행동이 출산의도를 거치지 않는다는 것도 알 수 있다. 따라서 미취업모에 대한 지원의 확대가 필요하며, 모의 취업여부에 따라 출산정책의 접근 방법을 달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sed the influence of matern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family environment on the intension of childbirth and actual birth. Longitudinal data were used for comparative analysis according to maternal employment status. The analysis showed a few results. First, unemployed mothers showed a higher rate in parenting stress and exposure to stressful situation in family than that of employed mothers, but a lower rate in positive factors such as family income and husband’s participation in childcare. Second, the value of children as a psychological factor and the number of existing children as a family environment factor influenced the intension of childbirth for both employed and unemployed mothers. Third, marital conflicts affected their intension of childbirth for employed mothers, while marital satisfaction influenced their actual birth. For unemployed mothers, the family environment factor influenced their actual birth. And both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family environment affected their actual birth of employed mothers. Fourth, regardless of maternal employment, the intension of childbirth worked as mediation between the number of children and actual birth. With the above mentioned,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individual difference i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family environment according to maternal employment, and the intension of childbirth and actual birth have different factors influencing them respectively.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ension of childbirth mediated between the number of children and actual birth, and all the actual birth is not through the intension of childbirth though the intension is a major factor for birthing. Thus, there should be extensive support for unemployed mothers and needs different approaches and policies for childbirth according to maternal employment st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