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직무요구에 따른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와사이버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he Moderation Effects of Cyber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 and Turnover Intentions)

개인저자
김소희
수록페이지
199-226 p.
발행일자
2015.12.23
출판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초록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들이 과도한 업무에 시달리며 높은 이직률을 보이는 것과 관련, 직무요구-자원모델에 의거하여 사회복지사의 육체적, 정신적 노동을 포함한 직무요구와 자원에 대해 규명하고 이직의도에 영향 미치는 과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직무요구로 인한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사회적 자원으로서 사이버 사회적 지원의 역할을 규명함으로써 사회복지기관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의 직무로 인한 스트레스를 경감시킬 방안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서울․경기 지역의 민간 사회복지기관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직접 면접과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43명 중 SNS사용자 110명의 응답을 최종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사회복지사가 당면한 직무요구로 인한 스트레스는 직무소진을 증가시키고 직무열의를 감소시켰으며, 직무소진의 증가는 이직의도의 증가로까지 이어지고 있었다. 반면, 사회복지사의 사회적 지지자원으로서 SNS의 사용은 직무요구로 인한 사회복지사의 직무열의를 조절하는 유의미한 요인으로 밝혀졌다. Undesired turnover of social worker causes problems for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its recipients and beneficiaries. The various difficulties faced by social workers such as increasing workload and problems with particular clients could negatively affect them and increase their turnover intention. In the mobile era, every social workers’ individual and work life are dominated by the Internet and Mobile. An individual’s friends via SNS can be important sources of help in overcoming the deleterious effects of job str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ion effects of social support via social networking service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demands and both work exhaustion and job engagement.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of survey data collected from 110 respondents of social workers showed that job demand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work exhaustion and, in turn, work exhaus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This study found that cyber social support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s and social worker’s job eng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