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장애인 활동보조인 교육의 IPA 분석(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of personal assistants education for the disabled : Focused on management in Pyeongtaek, H university)

개인저자
정소영
수록페이지
71-92 p.
발행일자
2016.12.23
출판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초록
이 연구에서는 활동보조인 교육 실시 결과를 바탕으로 중점적으로 개선되어야 하는 요인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활동보조인 교육 중요도- 만족도 측정 문항의 요인구조, 상관성을 검증하고 IPA 메트릭스를 통해 각 요인들이 중점개선, 개선 요망, 노력 지속, 현상 유지 중 어느 위치에 해당하는 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경기남부권의 활동보조인 교육에 참여하는 231명이 대상이었다. 연구결과, 활동보조인 교육은 ‘교육 운영’과 ‘교육과정’의 2개의요인으로 탐색되었고, 대부분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PA 분석결과 활동보조인 교육 운영에서는 ‘교육기간’이, 교육과정에서는 ‘실기수업’과 ‘이론수업’ 요인이 중점 개선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기간은 활동보조인 교육 운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론수업은 활동보조인 교육과정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경기남부권 활동보조인 교육운영 기관에서 교육을 받은 대상자를 중심으로 중요도-만족도를 조사한 것으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는 제한가 있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활동보조인의 업무수행능력 제고를 위한 활동보조인 교육 중요도와 만족도를 분석하여 교육의 질을 개선하고자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management and curriculum of personal assistants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exploratory factor of importance and satisfaction questions in personal assistants education, correlation and a difference of importance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factors, and investigates improvement plan through IPA analysis. The targets of this research are 231 personal assistants participating in personal assistants education managed in South Gyeonggi-do. As a result, it is shown that the sub-factors of personal assistants education mostly have a correlation, and two factors such as‘education management’and‘curriculum’are investigated. As a result of IPA analysis, it is drawn that‘education period’needs intensive improvement in education management, and‘practice class’and‘theory class’need intensive improvement in curriculum.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because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personal assistants education are investigated and the improvement plan is provi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