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북한주민의 공공 식량배급 수혜상황과 영양취약 아동규모추계((The) Status of Benefits from the Public Distribution System of Food and Malnourished Children in North Korea)
- 개인저자
- 황나미
- 수록페이지
- 60-70 p.
- 발행일자
- 2012.03.19
- 출판사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북한의 식량난은 주지의 사실인바, 2008년 이후 탈북한 새터민을 통해 탈북 3개월 전 식량배급 수혜실태를 파악한 결과, 최근에 이를수록 공공 식량배급 사정이 악화되었고, 직업간·지역간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아동의 영양결핍상태는 지역간 격차가 심각하였고 만연화되어 있었다. 이에 취약아동의 성장발달 장애 및 질병 등 영양결핍으로 인한 후유증을 최소화하여 향후 통일세대의 인구자질을 향상시키고 통일비용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인도적 지원이 조속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만, 지원식량 및 영양개선사업에 대한 분배의 투명성과 모니터링을 통해 취약계층으로의 전달이 보장되어야 하고 자생력 확보를 위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수반되어야 하는 문제가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