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우리나라 사회기반 강화를 위한 식품안전관리의 정책방향(The Policy Goal of Food Safty for Strengthening Social Infra)
- 개인저자
- 정기혜
- 수록페이지
- 51-63 p.
- 발행일자
- 2011.09.19
- 출판사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WTO 출범 이래 식품교역의 완전 개방화, 자유화로 유해식품의 국내 유입은 향후에도 해마다 증가할 전망이다. 식품위해물질로 식품에서 검출되는 납, 수은, 카드뮴, 알루미늄 등은 인체에 직접적인 독성이 강할 뿐 아니라 만성적으로 내분비계 교란 작용이 있어 혼입차단이 반드시 필요하다. OECD와 같은 국제기구는 최근 식품안전관리체계를 통합하여 운영토록 권장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식품안전관리는 크게 중앙정부인 농수산식품부와 식약청, 그리고 지방정부로 다원화된 관리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 원고에서는 식품안전의 주무부서인 식품의약품안전청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식품안전관리의 정책동향을 살펴보기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