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유기가공식품 표시제 운영현황 및 개선방향((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Organic Processed Food Labelling)
- 개인저자
- 곽노성
- 수록페이지
- 30-37 p.
- 발행일자
- 2012.08.19
- 출판사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소비자의 웰빙식품에 대한 선호, 녹색성장에 대한 요구, 부가가치 높은 농산물이라는 3가지가 맞물려 향후 유기식품의 앞날은 상당히 밝은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소비자의 유기식품에 대한 관심에 비해 접근성이나 신뢰도는 다소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우선 식약청에서 허용하고 있는 식품첨가물 및 가공보조제 중 농식품부에서 허용하지 않는 품목을 검토·반영할 필요가 있다. 총 유기원료 함량 표기와 함께, 유기가공식품 인증마크 옆에 원산지 표시 부착을 의무화할 필요가 있다. 유기원료 95% 이하의 제품에 대한 기준 강화도 검토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