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건강마을사업의 확산을 위한 정책과제(Application of Healthy Village Program in Local Area)
- 개인저자
- 최은진
- 수록페이지
- 88-96 p.
- 발행일자
- 2012.10.19
- 출판사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지역주민의 건강증진 지원을 위하여 건강도시, 건강마을 등 다양한 형태의 사업이 지방자치단체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다. 노인인구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건강취약계층이 증가할 전망이며 예방적인 건강증진의 기회조성과 경제사회적 안정을 위해 건강마을사업이 소규모 지역을 중심으로 발전할 기회가 많을 것으로 사료된다. 건강마을사업은 무엇보다도 지역 주민 모두가 건강 프로그램의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공공부문에서 일차보건의료의 역할 재구축이 선행되어야 한다. 최근까지는 신체적 건강에 치중하는 경향이 있는데, 사회적 정신적 건강을 위한 서비스가 더 확대되어야 한다. 의료서비스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네트워크 형성을 촉진함으로써 사회적 자본을 축적, 근본적인 정신적 건강을 도모하는 것도 필요하다. 건강 마을이 경제적 소득 안정화를 통해 소득 불평등을 줄이고 그에 따른 건강 형평성을 추구하는 것도 의미가 있다. 건강 마을 공동체가 자체 소득을 창출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도 바람직 하다. 지역사회에서 하나의 시설이나 프로그램에 의지하는 것이 아니라 의료접근성을 높일 수 있도록 거시적으로 의료전달 체계를 단순화하고, 건강관리 프로그램이 취약계층, 소회계층에게 확대보급될 수 있는 사업을 확보해야 한다.
- 권/호
- 2012년 10월 (통권 제192호)
- 발행일
- 2012.10.19
- 구독상태
- 노인의 가족생활 실태와 정책과제(Family Life of Older Persons and Policy Implications)
- 노인의 경제활동 특성과 정책과제(Labor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of Korean Older Adults)
- 노인의 여가활동과 정책과제(Leisure Activities of the Elderly and Policy Issues)
- 노인의 건강 및 의료이용실태와 정책과제(Health Status and Health Services Utilization of Older People and Policy Implications)
- 노인의 기능상태·수발실태와 정책과제(Functional Activities and Assistance Needs of the Elderly)
저자의 다른 기사
동일 저자의 최근 기사 최대 5건을 제공합니다.기사명 | 저자 | 발행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