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아동의 신체적 건강상태와 정책과제(Policy Development for the Physical Health of Children)
- 개인저자
- 최은진
- 수록페이지
- 39-48 p.
- 발행일자
- 2015.02.01
- 출판사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에 의한 국민건강정책부문의 영역은 건강생활실천의 영역, 만성질환 및 감염성질환의 상병관리, 안전환경보건, 인구집단별 건강관리, 인프라 분야 등으로 구분된다. 개인의 상병, 라이프스타일, 환경, 의료이용을 위한 인프라 등이 중요한 영역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영역은 개인의 신체건강증진을 위하여 필수적인 요소이다. 아동의 건강정책영역도 이러한 기준으로 구분할 수 있다. 유아기부터 아동후기에 이르기까지 아동의 주관적 건강수준과 예방접종, 질병상태의 경험과 의료이용, 가정내외의 안전에 관한 문제 등이 포함된다. 본 원고에서는 2013년의 아동실태조사 결과를 기초로 하여 아동의 신체적인 건강수준과 의료이용, 안전문제대책 등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분석해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