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지표로 보는 한국여성의 재생산건강(Korean Women's Reproductive Health Indicators)

개인저자
천희란
수록페이지
34-46 p.
발행일자
2016.05.01
출판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재생산기간은 여성의 생애주기에서 민감한 시기이며 임신, 분만, 출산과 관련된 재생산활동은 여성 건강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글은 임신과 출산, 피임, 인공임신중절, 재생산주기 등 영역으로 나누어 추이와 함께 우리나라 여성의 재생산건강 현황과 관련요인을 살펴보았다. 가임기 기혼여성의 연령이 높을수록 임신 소모 및 인공임신중절 경험이 증가하는 경향이다. 피임실천은 1960년대 이후 현격히 증가하였지만 약 20%의 비실천자나 실천자들의 정확한 피임 사용법 등 질적인 문제 도 있다. 초경에서 폐경까지 재생산주기는 빨라진 초경으로 늘어났으며 초경연령은 연령코호트별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초경연령, 임신 소모, 인공임신중절 경험에서 여성의 교육수준, 가구소득, 직업, 지역 특성별 사회경제적 격차가 관찰되었다. 재생산건강 정책에서 여성 내부의 차이를 고려한 접근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