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청소년의 음주폐해감소를 위한 건강증진 정책방향 /
- 개인저자
- 최은진
- 수록페이지
- 74-84 p.
- 발행일자
- 2008.05.21
- 출판사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영문]청소년의 음주문제가 보건문제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문제로 부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청소년 대상의 음주대책은 많은 제한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청소년이 미성년자임에도 불구하고 음주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다는 점과 청소년 대상 주류판매규제가 허술하다는 점, 술에 허용적인 사회적 분위기 등이 많은 지적을 받고 있다. 이에 본 논고에서는 우리나라 청소년 대상의 음주문제에 대한 대응방안을 건강증진정책을 중심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청소년기에는 정신건강증진의 과제를 달성할 수 있도록 가정과 학교, 지역사회, 정부에서 지원해 주어야 한다. 청소년의 음주 및 흡연행동이 정신적, 심리사회적 요인과 많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청소년 음주예방을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학교장, 학부모, 대중매체의 대표, 지역사회의 기관장 등이 중심이 되어 청소년음주예방을 위한 노력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최근에선 학교에서의 청소년음주예방교육을 위한 프로그램보급이 증대하고 있다. 그러나 보건교육적인 노력만으로는 청소년음주예방을 효과적으로 할 수 없다. 따라서 법제도적인 정비와 강화, 지역사회의 노력 등이 파트너쉽을 가지고 강화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