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유전자재조합식품에 관한 논란 및 안전관리를 위한 정책 제언 /
- 개인저자
- 정기혜
- 수록페이지
- 52-60 p.
- 발행일자
- 2008.09.29
- 출판사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영문]유전자재조합식품은 유전자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재배 육성된 농, 축, 수산물을 원료로 만든 식품을 말한다. 현재까지 유전자재조합식품의 안전성 및 위해성에 관해 과학적으로 입증된 바 없어 사회적으로 찬반논란이 팽팽히 견지되고 있으나 전 세계적으로 재배면적은 해마다 증가하여 2006년 기준 60백만 ha 재배되고 있다. 대표적인 유전자재조합식품은 콩, 옥수수, 면화, 유지종자로 개발초기인 제1세대에는 제초제저항성 및 병충해저항성 등 작물 생산량 증대나 영농 편이성을 중심으로 개발되었지만 제2세대인 현재는 영양적 기능이나 질병의 예방 혹은 치료의 효과까지도 누릴 수 있는 작물을 개발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유전자재조합 식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 인체안전성 평가 심사, 표시제 실시, 그리고 유전자 변형생물체의 국가간 이동에 관한 조치가 실시되고 있다. 향후 유전자재조합식품에 관하여 좀 더 과학적인 근거에 기반 한 판단과 아울러 객관적인 입장에서 득과 실을 판단하는 균형잡힌 시각을 갖아야 할 것이며, 한편 정부는 소비자들의 선택 및 알권리 충족을 위해 유전자재조합식품에 관한 표시확대 여부를 심도있게 검토,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