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기사

일본의 방과후 아동대책 /

개인저자
최진희
수록페이지
79-92 p.
발행일자
2010.02.05
출판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영문]본고는 일본의 방과 후 아동대책이 어떠한 정책적 흐름 안에서 진행되었는가를 파악함과 동시에 최근 현황을 살펴보았다. 일본의 방과 후 아동대책의 흐름을 시대별(4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제1기 1960년대 이전의 민간중심 태동기, 제2기 1960년대 중반에서 80년대에 걸쳐 방과 후 아동대책의 정책도입기, 제3기 1990년대에서 2006년까지 방과 후 아동대책을 법정화시기, 제4기 2007년 이후의 방과 후 아동대책 성장기로 나눌 수 있다. 일과 자녀양육을 양립시키고자 하는 민간차원의 움직임에서 시작되었지만 저출산?고령화, 여성의 사회진출, 고도경제성장을 배경으로 한 맞벌이 가정 증가 등 경제?사회적인 요인들과 맞물리면서 아동양육지원 서비스의 하나로 확산되었다. 2000년대 중반까지 부모가 일하는 낮 시간에 빈집에서 있는 아이들에게 초점을 둔 방과 후 아동대책이었지만 2007년에 다면적인 모습으로 움직여왔던 방과 후 대책을 qqqquot;방과 후 아동플랜”으로 개편, 통합시키고 있다. 그러나 각기 다른 모습의 방과 후 서비스를 방과 후 아동플랜 범주 안에 합쳐놓았으나 일원적이며 구체적인 모습은 제시하지 않았고, 또 지역의 사정과 특색을 활용한 움직임을 촉진시키는 정도에 머물고 있어 지금까지 목적이 다르게 움직여온 방과 후 대책을 어떻게 관련지어 실시하는 가와 그 형태에는 아직 모색단계라 하겠다. 그동안 여러 방면에서 아동대책을 실시해 왔고 새롭게 개편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서비스를 기다리는 아동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는 것은 서비스의 양적인 과제가 될 것이다. 한편 방과 후 서비스에 대한 부모와 아이들의 각각의 욕구의 차이를 명확히 인식하고 체계화시켜 가는 것이 방과 후 아동서비스의 질적인 과제가 될 것이다. 한국과 일본의 방과 후 아동대책은 다른 양상을 가지고 있지만 한국형 방과 후 아동대책을 구축해 나아가는 데 있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