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가족의 변화와 가족정책의 방향 | 임관식 | 2-4 | 2012.05.19 | - | |
한국가족의 위기성 및 취약성과 정책과제(At-Risk and Vulnerability of Korean Families and Its Countermeasures) | 김승권 | 6-19 | 2012.05.19 | - | |
중산층가족의 특성과 정책과제(Characteristics of Middle Class Families and Policy Implications) | 김유경 | 20-39 | 2012.05.19 | - | |
베이비 부머의 가족생활과 노후 생활 전망((An) Outlook of Baby Boomers’ Old Age Life) | 정경희 | 40-49 | 2012.05.19 | - | |
한부모가족의 생활실태와 복지욕구((The) Current State of Single-Parent Families:Welfare Needs and Policy) | 김연우 | 50-59 | 2012.05.19 | - | |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한국복지패널 활용방안(Korea Welfare Panel Utilization Strategy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 김계수 | 61-67 | 2012.05.19 | - | |
사회적 여건변화에 따른 정신건강증진정책의 추진방향과 과제(Future Directions and Issues of Mental Health Policies in Korea) | 이상영 | 68-77 | 2012.05.19 | - | |
OECD의 한국에 대한 연금개혁 권고안의 어제와 오늘((The) OECD Proposal on Korean Pension Reform Direction: The Past and Now) | 윤석명 | 78-86 | 2012.05.19 | - | |
독일의 고령자 사회참여 현황 및 정책(Social Participation of German Senior Citizens: Current State and Policy Effort) | 이윤경 | 88-95 | 2012.05.19 | - | |
이주자 건강증진을 위한 정책 제안(Policy Recommendations for Migrant Health Improvement) | 이상림 | 96-105 | 2012.05.19 | - | |